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생아 모유 부족 신호와 대처 방법

by 엄마로그 2025. 10. 4.
반응형

 

 

 

 

 

 

✔️ 안녕하세요. 엄마로그입니다.

 

신생아에게 모유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아기와 엄마 모두에게 신호가 나타납니다.


🔎 오늘은 모유 부족의 주요 신호, 확인법,

그리고 모유량을 늘리는 대처 방법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모유수유하는 모습

 

 

 

 

 

 

❗ 신생아 모유 부족 신호 (생후 0~3개월 기준)

 

초보 부모가 가장 먼저 느끼는 불안 중 하나는 “우리 아기가 충분히 먹고 있는 걸까?” 하는 의문입니다.
실제로 모유 수유는 눈에 보이는 양이 없기 때문에 부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신체적·행동적 신호를 통해 모유가 부족한지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아기에게 나타나는 신호

 

신호 설명
✅ 체중 증가 안됨 생후 2주 후부터 평균 하루 20~30g 증가해야 정상
✅ 배고파 보채거나 짜증 수유 후에도 만족하지 못하고 계속 빠는 행동
✅ 기저귀 수 감소 생후 5~7일 이후 하루 소변 횟수 6회 미만이면 부족 가능성 의심
✅ 잠이 들지 않거나 자주 깸 배가 고파서 수면 리듬 깨짐
✅ 탈수 징후 입술 건조, 입안 침 적음, 손등 눌렀을 때 회복 느림 등

 

 

 

 

🤱🏻 엄마에게 나타나는 신호

 

신호 설명
✅ 유방이 계속 말랑함 수유 전에도 뻐근함이나 묵직함이 없다면 모유 생성량 낮을 가능성
 수유 시 젖 나오는 느낌이 없음 let-down reflex (분출 반사) 느껴지지 않음
 유축량이 적음 1회 유축 시 30ml 미만이 반복될 경우 부족 의심

 

 

 

 

📌 출생 후 2주 이내에는 일시적인 체중 감소 가능

📌 14일 이내 출생체중 회복 → 이후 일일 20~30g 증가 필요

📌 체중 증가 지연 시 소아과 진료 권장

📌 소변 색이 진하거나 냄새가 강한 경우도 부족 신호

 

 

 

 

 

 

 

 

🛠️ 모유 부족 대처 방법

 

 

1. ⏰ 수유 횟수 늘리기

 

  • 생후 1~2개월 : 하루 8~12회 이상 수유
  • 자주 빠는 것이 수요-공급 원리에 따라 생산 촉진

 

 

 

2. 🧼 올바른 젖 물리기 (자세)

 

  • 젖꼭지뿐 아니라 유륜 깊이까지 포함하여 물려야 자극 제대로 전달
  • 젖 물기 자세가 잘못되면 흡입량도 떨어지고 유방 자극도 약함

 

 

 

3. 🍼 수유 + 유축 병행

 

  • 수유 후 유축기로 10~15분씩 유방 자극
  • 밤중 유축 (새벽 2~5시)이 특히 효과적 (수유호르몬 활발)

 

 

 

4. 🍲 수유모 영양 관리

 

  • 물 충분히 마시기 (하루 2L 이상)
  • 미역국, 단백질, 유즙분비 도와주는 식품 섭취
  • 유즙 촉진차, 가벼운 마사지, 온찜질 등 병행

 

 

 

5. 🚫 피해야 할 행동

 

행동 이유
분유 먼저 먹이기 아기가 모유에 흥미 잃고 수유 자극 감소
수유 간격 너무 길게 잡기 유방 자극 부족 → 생산량 저하
스트레스 방치 수유 호르몬(옥시토신) 억제

 

 

 

 

 

 

 

 

👩🏻‍⚕️ 병원 상담이 필요한 경우

 

 

  • 생후 3주 이상인데 체중이 늘지 않음
  • 수유 중 아기가 숨이 차거나 잘 못 빠는 듯한 모습
  • 유두 통증 심하거나 젖 물기 어려운 경우
  • 산후 우울감 등 심리적 스트레스가 큰 경우

 

 

 

 

 

 

 

 

📝 요약정리

 

 

구분 신호 대처
아기 체중 증가 안됨, 기저귀 수 적음, 계속 보챔 수유 횟수↑, 수유 자세 점검
엄마 유방 자극 적고 유즙감 느껴지지 않음 유축 병행, 수분/영양 보충, 유방 마사지
공통 수유 후 만족감 없음, 자주 깨는 수면 전문가 상담, 수유 교육 도움 요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