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엄마로그입니다.
출산 예정일이 가까워지면 산모와 가족이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출산 가방입니다. 언제 진통이 시작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최소 임신 35~ 36주 전에는 미리 준비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출산 가방 필수 아이템과 조리원에 필요한 준비물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처음 출산을 준비하는 산모는 무엇을 챙겨야 할지 막막하고 이미 경험이 있는 산모는 어떤 물품이 꼭 필요하고 불필요했는지 더 잘 알고 있습니다. 현재 산부인과와 산후조리원에서 권장하는 출산 가방 준비물은 산모용, 아기용, 행정·기타 용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산모들이 가장 많이 챙기는 필수 아이템과 불필요한 물건, 조리원 준비물 등을 정리해 소개합니다.
🤱🏻 산모용 준비물 체크리스트
- 개인 위생용품 : 칫솔, 치약, 클렌징, 샴푸, 바디워시, 로션, 튼살크림, 수건(2-3)
- 산모 전용 용품 : 맘스 안심팬티(출혈 많음), 오버나이트(대형 생리대 여분), 수유브라(수유나시), 수유패드, 여벌 속옷, 산후 복대
- 편안한 의류 : 편한 바지, 가디건, 무압박 양말, 편한 슬리퍼
- 개인 건강 관리 : 개인 복용 약이나 영양제(철분제·비타민 등), 손목보호대, 압박스타킹, 마스크, 안경·렌즈 용품
- 기타 필수품 : 휴대폰 충전기, 노트북(아이패드), 책, 물티슈, 휴지, 마이비데, 회음부 방석(자연분만), 가습기(건조해서), 텀블러, 수유쿠션 등
👉🏻 산모는 출산 직후 체력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편안함과 위생을 최우선으로 챙기는 것이 핵심입니다.
👉🏻 조리원은 대부분 물품을 제공하지만 개인이 직접 쓰는 생활용품과 심리적 편안함을 주는 물품은 따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아기용 준비물 체크리스트
- 기본 용품 : 신생아용 속싸개, 겉싸개(퇴소 시 필요), 배냇저고리, 모자, 손수건(5장)
- 위생 용품 : 아기 물티슈, 비판텐, 기저귀(병원 제공 여부 확인)
- 기타 : 아기 영양제(비타민D, 유산균)
👉🏻 신생아는 하루 대부분을 기저귀와 속싸개로 보내므로 많은 옷보다 기저귀와 위생 용품을 챙기는 것이 더 실용적입니다.
👉🏻 병원에서 기본 아기 물품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 입원 전 확인 후 불필요한 짐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기타 준비물 체크리스트
- 신분증 : 입원 수속 필수
- 진료 관련 서류 : 산모수첩
- 현금·카드 : 주차비 예상치 못한 병원비 지출 대비
- 기타 : 카메라, 에어팟 등
📌 초산모 vs 경산모 준비 차이
☑️ 초산모
- 처음이라 무엇이 필요한지 몰라 과하게 준비하는 경우 많음
- 실제로는 큰 수건, 아기 옷 다량, 드라이기 등은 불필요
- 긴장과 불안이 크므로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물품(헤어밴드, 개인 담요 등) 챙기면 좋음
☑️ 경산모
- 경험이 있어 불필요한 짐을 줄이고 필요 물품만 준비
- 첫째 아이 돌봄과 병행해야 하므로 간단하고 최소한의 물품 위주
- 젖병, 수유쿠션, 기저귀 등 아기 물품은 기존에 있던 것을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음
👉🏻 초산모는 ‘너무 많이 챙기기’, 경산모는 ‘최소화 전략’이 흔한 차이점입니다.
🏥 병원 제공 물품 비교표
항목 | 제공 가능 | 비고 |
산모 패드 | 일부 병원 제공 | 오로 양 때문에 일부 필요 |
기저귀 | 신생아용 기본 제공 | 브랜드·수량 확인 필요 |
수유패드 | 대부분 미제공 | 개인 준비 권장 |
수건·샴푸 | 일부 병원 제공 | 개인 위생 위해 추가 필요(미리 사전에 확인) |
수유복·환자복 | 병원 기본 제공 | 개인 편한 옷 별도 준비 가능 |
아기 속싸개 | 일부 제공 | 퇴원 시엔 개인 소지품 필요 |
👉🏻 병원마다 제공 항목이 다르므로 입원 전 확인 후 가방을 준비하면 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불필요하거나 줄일 수 있는 준비물
- 샴푸·린스·드라이기 : 병원·조리원에서 기본 제공되는 경우 많음(미리 확인하기)
- 큰 수건 다량 : 병원에서 일부 제공, 개인적으로 소형 수건만 추가 준비
- 아기 기저귀 : 병원에서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 미리 확인하기
- 너무 많은 아기 옷 : 신생아는 퇴원 시 1세트 정도면 충분
⭐️ 출산 가방은 산모용, 아기용, 기타 세 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준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초산모는 과한 준비를 줄이고 경산모는 최소한의 핵심 물품만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산후조리원 입소 여부와 병원 제공 물품을 미리 확인하면 불필요한 짐을 덜 수 있습니다.
미리 준비된 출산 가방은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